728x90
반응형
SMALL
해킹 침입 경로와 피해 규모
- 침입 시점: 악성코드는 이미 2022년 6월부터 SKT의 핵심 서버에 침투하여 약 3년간 탐지되지 않고 활동하였습니다.
- 침해된 서버: **홈 가입자 서버(HSS)**를 포함한 주요 시스템이 해킹되어, USIM 인증키(K값), IMEI, IMSI, ICCID, 이름, 전화번호, 생년월일 등 민감한 개인정보가 유출되었습니다.
- 피해 규모: 약 2,300만 명의 고객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추정되며, 이는 국내 통신사 해킹 사고 중 최대 규모입니다.
2차 피해 사례와 우려
- 실제 피해 사례: 부산에 거주하는 60대 남성 A씨는 본인도 모르게 KT 알뜰폰 번호가 개통되고, 총 5,000만 원이 무단 인출되는 피해를 입었습니다. 경찰은 현재 해당 사건의 해킹 연관성을 조사 중입니다.
- SIM 스와핑 위험: 유출된 USIM 정보로 인해 SIM 스와핑이 발생할 수 있으며, 이를 통해 금융 사기, 개인정보 도용 등의 2차 피해가 우려됩니다.
SKT의 대응 조치
- 악성코드 제거 및 장비 격리: 유출 가능성을 인지한 후, 해당 악성코드를 즉시 삭제하고 해킹 의심 장비를 격리 조치하였습니다.
- 무료 USIM 교체 서비스 제공: 전국 2,600여 개 매장에서 무료 USIM 교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, USIM 보호 서비스도 함께 지원하고 있습니다.
- 고객 안내 및 지원: 홈페이지와 T월드를 통해 고객 고지 및 추가적인 안전 조치를 안내하고 있으며, 고객센터(080-800-0577)를 통해 문의를 받고 있습니다.
고객이 취할 수 있는 대처 방안
- USIM 교체: 가까운 SKT 매장을 방문하여 무료 USIM 교체를 진행하세요.
- USIM 보호 서비스 가입: T월드 또는 SKT 홈페이지를 통해 USIM 보호 서비스에 가입하여 추가적인 보안을 강화하세요.
- 금융 계좌 모니터링: 계좌 이체 및 결제 내역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, 이상 거래 발생 시 즉시 해당 금융기관에 신고하세요.
- 다른 통신사로의 전환 고려: 보안 강화를 위해 다른 통신사로의 번호 이동을 고려해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.
728x90
반응형
LIST
'2025년 키워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엔비디아 젠슨 황, 대만에 AI 슈퍼컴퓨터 인프라 구축 발표! 대만이 글로벌 AI 허브로 뜨는 이유는? (0) | 2025.05.21 |
---|---|
SKT 중국 해커조직이 해킹한 것일까? (0) | 2025.05.20 |
일본처럼 지진 잦은 나라에선 모두 아는 행동요령 10가지 (0) | 2025.05.17 |
2025년 7월 5일 대재앙이 온다고? (0) | 2025.05.17 |
HPV 백신, 남자도 맞아야 하나요? (0) | 2025.05.16 |